맨위로가기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은 1992년부터 1994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일어난 무력 충돌로,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민족주의적 갈등이 격화되어 발생했다. 1990년 보스니아 총선에서 민족주의 정당이 집권하고, 세르비아계가 대세르비아 건설을 시도하며 자치주를 선포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크로아티아는 보스니아의 독립을 지지했지만, '대크로아티아' 구상 하에 보스니아를 분할하려는 시도를 했다.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HVO)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 간의 동맹은 초기에는 유지되었으나, 점차 악화되어 1993년 중앙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에서 본격적인 충돌로 이어졌다. 아흐미치 학살 등 민간인 학살과 전쟁 범죄가 발생했으며, 여러 차례의 평화 협상 시도가 실패한 끝에, 1994년 워싱턴 협정을 통해 휴전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을 수립함으로써 종결되었다. 전쟁은 상당한 인명 피해와 문화 유산 파괴를 초래했으며, 데이턴 협정 이후에도 테러와 분리주의 움직임이 지속되었다.

2. 배경

1990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첫 자유 선거가 열린 후,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의 민주행동당(SDA), 라도반 카라지치의 세르브인 민주당(SDS), 스체판 클류이치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인 민주연합(HDZ BiH) 등 민족주의 정당들이 집권했다.

1991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족 분포 지도


1991년 초, 유고슬라비아 위기 해결을 위해 6개 공화국 지도자들이 회의를 열었으나, 세르비아는 연방제를,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는 주권 국가 연합을 원했다. 이제트베고비치는 비대칭적 연방안을 제안했다가 보스니아 주권 국가화를 주장하며 입장을 바꿨다.

1991년 7월, 카라지치와 무슬림 보스니아인 조직(MBO) 부당수 무하메드 필리포비치는 보스니아를 세르비아 및 몬테네그로와 국가 연합으로 묶는 협정을 맺었다. HDZ BiH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민주당(SDP BiH)은 이를 반크로아트적이라고 비난했고, 이제트베고비치는 처음에는 환영했으나 나중에는 거리를 두었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기간(1991년 7월-1992년 1월) 동안, 유고슬라비아 인민군과 세르비아계 준군사는 보스니아 영토를 통해 크로아티아를 공격했다. 크로아티아 정부는 세르비아의 전쟁 확대를 예상하고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인을 무장시켰다. 1991년 말, 헤르체고비나 출신 크로아티아인 약 2만 명이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에 입대했다.

193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크로아티아 바노비나(빨강)


1991년 12월 27일, 프라뇨 투지만 주재 회의에서 HDZ BiH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미래와 크로아티아의 전략을 논의했다. 스체판 클류이치는 보스니아 통합을 원했으나, 투지만은 이제트베고비치 정책에 동조한다며 비판했다. 마테 보반은 헤르체그보스니아를 독립된 크로아티아 영토로 선언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다리오 코르디치는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인의 정신이 강해졌다고 주장했다. 투지만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권 전망이 없다며, 크로아티아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권을 더 이상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가 보스니아를 분할하여 크로아티아가 헤르체고비니아 공동체, 크로아티아 포사비나 공동체, 차진 지역을 차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49] 잔존 영토에는 작은 보슈냐크인 국가를 세워 완충지대로 삼을 수 있다고 말했다.[49]

1992년 1월 2일, 고이코 슈샤크 크로아티아 국방장관과 안드리야 라셰타 유고 인민군 장군은 휴전 협정에 서명했다. 유고 인민군은 병력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이동시켰다. 1월 16일, 부소바차에서 크로아티아 독립 축하 집회가 열렸고, 코르디치는 부소바차가 크로아티아 땅이라고 선언했다. 1월 27일, 보스니아 중부 크로아티아인 공동체가 선포되었다.

1992년 2월, HDZ BiH 지도부에 변화가 생겼다. 클류이치는 당수직에서 사임했고, 투지만은 그가 이제트베고비치 아래로 사라졌다고 비판했다. 통일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지지한 밀렌코 브르키치가 새 당수가 되었다. 크로아티아계 행정부는 보스니아 정부보다 HDZ나 자그레브 정부와 더 긴밀하게 연결되었다.

1992년 2월 29일과 3월 1일, 보스니아 독립 국민투표가 열렸다. 보반은 대체 국민투표안을 유포했다. 보슈냐크인과 크로아티아인은 독립을 지지했으나, 세르비아인은 보이콧했다. 다수가 독립에 투표했고, 1992년 3월 3일 이제트베고비치가 독립을 선언하자 크로아티아는 즉시 국가 인정을 선포했다.

독립 선언 직후 보스니아 전쟁이 시작되었다. 1992년 4월 사라예보 포위전이 시작되었고, 스릅스카 공화국군(VRS)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70%를 장악했다.

2. 1. 유고슬라비아의 해체와 민족 갈등

1990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첫 자유 선거가 실시되어 민족주의 정당들이 집권했다.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가 이끄는 민주행동당(SDA), 라도반 카라지치가 이끄는 세르브인 민주당(SDS), 스체판 클류이치가 이끄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인 민주연합(HDZ BiH)이 그 주인공이다. 이제트베고비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 의장으로, 크로아티아인인 유레 펠리반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총리로, 세르비아인인 몸칠로 크라이슈니크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47]

1990년에서 1991년 사이,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 세르비아계는 '세르브인 자치주'를 선포하며 대세르비아를 추구했다. 이들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을 통해 무장했다.[48] 1990년 9월에서 10월 초, 유고 인민군은 세르브계 보스니아인을 무장시키고 민병대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1991년 3월까지 유고 인민군은 소화기 51,900정을 세르비아계 민병대에게, 23,298정을 세르브인 민주당 민병대에게 지급했다.

2. 2. 크로아티아의 개입과 '대크로아티아' 구상

프라뇨 투지만 크로아티아 대통령은 크로아티아 바노비나의 국경을 기반으로 한 "대크로아티아" 수립을 목표로 했다.[4] 여기에는 헤르체고비나 서부와 포사비나 등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 크로아티아계 다수 지역이 포함되었다.[4] 투지만은 국제 사회가 보스니아 분할에 반대한다는 것을 알고 보스니아의 통합을 공식적으로 지지한다고 하면서도, 보스니아를 크로아티아계와 세르비아계로 분할하려는 이중 정책을 펼쳤다.[5] 1991년 3월 25일, 투지만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세르비아 대통령과 카라조르제보에서 만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할에 대해 논의했다.

크로아티아 정부는 1991년 10월에서 11월부터 헤르체고비나 지역의 크로아티아계를 무장시키기 시작했고, 이는 보슈냐크인 공동체를 무장시키는 데도 도움을 주었다. 1991년 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온 약 2만 명의 크로아티아인이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에 입대했다. 1992년 4월 8일, 크로아티아계 보스니아인들은 크로아티아 방위평의회(HVO)를 결성했다. 상당수의 보슈냐크인도 HVO에 합류하여 HVO 병력의 20~30%를 차지했다.

2. 3. 헤르체그보스니아 수립과 보스니아 분할 시도

1991년 11월 12일, 다리오 코르디치와 마테 보반이 주재한 회의에서 HDZ BiH의 지역당 지도자들은 "오래된 꿈인 모두의 크로아트인 국가"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이들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크로아티아 바노비나를 선포하는 것이 "크로아티아 문제의 근본적 해결과 민족적, 역사적 [...] 국경을 가진 크로아티아 주권국의 창조를 향한 초기 단계"라고 결정했다.[47] 같은 날 보스니아 서북부의 지방 자치체에서 보스니아 포사비나 공동체가 수립되었다.

11월 18일,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자치공동체(HZ-HB)가 수립을 선포하며, 이는 분리독립이 아니라 "지역 자치행정을 위한 법적인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이전의, 그리고 미래의 아무 모든 종류의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한다는 조건 하에 보스니아 정부를 존중하겠다고 맹세했다.[48] 공동체 대통령으로는 마테 보반이 선출되었다.[49] 헤르체그보스니아의 지도부는 처음부터 크로아티아 육군(HV)과 긴밀한 관계를 가졌다.[50] 크로아티아 최고각료회의에서 프라뇨 투지만은 헤르체그보스니아의 수립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독립한다는 결정이 아니라고 밝혔다. 11월 23일, 보스니아 정부는 헤르체그보스니아를 불법으로 선언했다.

하지만, ICTY는 투지만의 궁극적인 목표가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국경을 기반으로 한 "대크로아티아"의 수립이었다고 판결했다. 여기에는 크로아트인 인구가 다수인 헤르체고비나 서부, 포사비나와 기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 크로아트인 다수 지역이 포함되었다. 투지만은 국제 사회가 보스니아 분할에 반대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보스니아의 통합을 공식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히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보스니아를 크로아트계와 세르브계로 분할하려는 이중정책을 구사했다. 1991년 3월 25일, 투지만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세르비아 대통령과 카라조르제보에서 만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분할에 대해서 논의했다고 알려져 있다.

3. 정치적, 군사적 관계

1990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열린 첫 자유 선거에서 민족주의 정당들이 집권했다.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의 민주행동당(SDA), 라도반 카라지치의 세르브인 민주당(SDS), 스체판 클류이치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인 민주연합(HDZ BiH)이 그들이다. 이제트베고비치는 대통령 의장에 선출되었고, 유레 펠리반이 총리, 몸칠로 크라이슈니크가 의회 의장이 되었다.

1990년부터 1991년까지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인들은 대세르비아 구상 아래 각 지역을 "세르브인 자치주"로 독립시켰다. 이들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을 활용해 영토를 지켰고, 1991년 3월까지 유고 인민군은 세르비아인 민병대 등에게 많은 무기를 나눠주었다.

1991년 초, 6개 공화국 지도자들은 유고슬라비아 위기 해결을 위해 회의를 열었다. 세르비아는 연방제를,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는 주권 국가 동맹을 원했다. 이제트베고비치는 비대칭적 연방안을 제안했다가 보스니아 주권 국가화를 주장하며 입장을 바꿨다.

ICTY는 프라뇨 투지만 크로아티아 대통령의 목표가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국경 기반의 "대크로아티아" 수립이라고 판결했다.[47] 여기에는 헤르체고비나 서부, 포사비나 등 크로아트인 다수 지역이 포함되었다. 투지만은 보스니아 분할에 반대하는 국제 사회를 의식해 공식적으로는 보스니아 통합을 지지하면서도, 실제로는 보스니아를 크로아트계와 세르브계로 분할하려는 이중 정책을 펼쳤다.[48] 1991년 3월 25일, 투지만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세르비아 대통령과 카라조르제보에서 회담을 가졌다.

1991년 7월, 카라지치와 무슬림 보스니아인 조직(MBO) 부당수 무하메드 필리포비치는 협정을 작성했다. HDZ BiH 등은 이 협정을 비난했고, 이제트베고비치도 처음에는 환영했으나 나중에는 거리를 두었다.

1991년 7월부터 1992년 1월까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기간, 유고 인민군 등은 보스니아 영토를 이용해 크로아티아를 공격했다. 크로아티아 정부는 세르비아인이 전쟁을 보스니아로 확대할 것을 예상하고 헤르체고비나 지역 크로아트인을 무장시켰다. 1991년 말까지 많은 크로아트인이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ZNG)에 입대했다. 이제트베고비치는 중립을 선포했고, 사라예보 정부는 세르브계 공격에 대한 방어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이제트베고비치는 영토방위군(TO) 무장 해제에 동의했지만, 크로아트계와 보슈냐크인 조직은 거부하고 많은 시설과 무기를 장악했다.

1991년 11월 12일, HDZ BiH 지역당 지도자들은 대크로아티아 달성 정책을 추진하기로 합의하고,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선포를 결정했다. 같은 날 보스니아 포사비나 공동체가, 11월 18일에는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자치공동체(HZ-HB)가 수립되었다. 헤르체그보스니아는 "지역 자치"를 위한 것이라 해명하며, 보스니아 정부를 존중하겠다고 맹세했다. 마테 보반이 대통령으로 집권했다. 헤르체그보스니아 지도부는 크로아티아 정부 및 크로아티아 육군(HV)과 긴밀한 관계를 가졌다. 11월 23일, 보스니아 정부는 헤르체그보스니아를 불법으로 선언했다.

HDZ BiH는 두 공동체 수립과 관련해 분열되었다. 스체판 클류이치는 반대했지만, 지역당 대표들은 지지했다. 1991년 12월 27일, 양측 지도부는 자그레브에서 회의를 열었다. 클류이치는 통일된 보스니아를 원했지만, 투지만의 비판을 받았다. 보반은 헤르체그보스니아를 독립된 크로아티아 영토로 선언했다. 다리오 코르디치는 다른 선택은 반역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회의에서 투지만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전망은 없다"고 말하며, 보스니아 분할 시 크로아티아가 헤르체고비니아, 포사비나, 차진 지역을 차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49] 잔존 영토는 사라예보 주변의 작은 보슈냐크인 국가로 완충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했다.[49] 투지만은 클류이치 등을 숙청했다.[50]

1992년 1월 2일, 고이코 슈샤크와 안드리야 라셰타는 휴전 협정에 서명했다. 유고 인민군은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RSK) 지원 병력을 보스니아로 이동시켰다. 1월 16일, 부소바차에서 크로아티아 독립 축하 집회가 열렸다. 코르디치는 부소바차는 크로아티아 땅이라고 연설했고, HVO 사령관 이그나츠 코슈트로만도 "크로아티아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월 27일, 보스니아 중부 크로아티아인 공동체가 선포되었다.

겨울 동안 HDZ BiH 지도부에 변화가 일어났다. 1992년 2월 2일, 클류이치는 사임했다. 투지만은 그가 이제트베고비치 아래 사라졌다고 말했다. 밀렌코 브르키치가 새 당수가 되었다. 크로아트계 보스니아 행정부는 보스니아 정부보다 HDZ나 자그레브 정부와 긴밀해졌다. HDZ는 보스니아 정부 내 요직을 맡았지만, 별도 정책을 폈다.

1992년 2월 29일과 3월 1일, 독립 국민투표가 열렸다. 보슈냐크인과 크로아트인은 독립을 지지했으나, 세르브인은 보이콧했다. 1992년 3월 3일 이제트베고비치가 독립을 선언하자 크로아티아가 즉시 보스니아를 국가로 인정했다.

독립 선언 직후 보스니아 전쟁이 시작되었다. 1992년 4월 사라예보 포위전이 시작되었고, 스릅스카 공화국군(VRS)은 보스니아의 70%를 장악했다. 같은 날 크로아트계는 크로아티아 방위평의회(HVO)를 수립했다. 보반은 보스니아 정부가 아무 행동도 취하지 않아 HVO를 세웠다고 말했다. 많은 크로아트인이 블라주 크랄레비치의 크로아티아 국방군(HOS)에 합류했다. 1992년 4월 15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이 수립되었다. 사라예보 정부는 세르브인에 대항해 군사력 조직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제트베고비치는 사라예보 통제에 집중했고, 나머지는 HVO에 의존했다.

HVO, ARBiH, HOS 병사들 (1992년 6월 모스타르)


초기에는 크로아티아-보스니아 동맹이 맺어졌지만, 긴장과 불신으로 균열이 생겼다. 양측은 세르비아인들과 개별 회담을 가졌고, 서로 불만을 제기했다. 1992년 2월, 요십 마놀리치는 그라츠에서 카라지치를 만났다. 크로아티아는 보스니아가 연합 관계의 주권 국가들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92년 4월 중순, HVO는 합동 군사 본부를 제안했지만, 이제트베고비치는 무시했다. HVO는 ARBiH 통합을 거부했다. 5월 6일, 마테 보반과 카라지치는 휴전과 영토 분할에 합의했으나, 결국 갈라섰다. 다음 날 유고 인민군 등은 모스타르의 크로아티아군 점령 지역을 공격했다. 5월 15일, 유엔은 결의안 752를 발표했다. 6월 중순, ARBiH와 HVO 연합 작전으로 모스타르 포위를 돌파하고 네레트바 강 동쪽 제방을 점령했다. 크로아티아군의 VRS 참여는 세르비아 승리를 막는 주요 장애물이었다.

크로아티아 등은 이제트베고비치에게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연합을 제안했지만, 거부당했다. 보반은 ARBiH 무기 인도를 차단했다. 크로아티아 정부는 ARBiH 본부를 크로아티아에 가깝게 옮길 것을 권고했다.

1992년 7월 3일, 헤르체그-보스니아 공동체가 공식 선언되었다. 자체 경찰, 군대, 통화, 교육 권력을 주장하며, 모스타르를 수도로 정했다. 7월, 세페르 할릴로비치가 ARBiH 참모총장이 되면서 관계는 악화되었다.

6월부터 군사 협력 논의가 시작되었다. 7월 21일, 이제트베고비치와 프라뇨 투지만자그레브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크로아티아 간의 우호 및 협력 협정에 서명, "세르비아 침략"에 협력하고 HVO를 ARBiH 지휘 하에 두었다. 협력은 조화롭지 못했지만, 크로아티아를 통해 ARBiH로 무기를 수송할 수 있게 했다. 보스니아 크로아티아인의 이중 국적을 허용했다. 보반은 헤르체그-보스니아가 보스니아의 일부로 남을 것이라고 맹세했다. 8월 6일, HVO는 보스니아군 통합의 일부로 인정받았다.

HVO는 1992년 4월 8일 결성되었고, 헤르체그-보스니아의 공식 군대였다. 1993년 초 HVO 국토방위대가 결성되었다. 1994년 초 근위 여단이 창설되었다. ICTY는 크로아티아가 HVO를 통제했다고 판결했다.[11] 1993년 초 HVO 병력은 34,080명이었다. HVO는 약 50대 전차와 500문 포를 보유했다.

1992년 1월 휴전 후, 크로아티아 정부는 HV의 보스니아 크로아트인들이 HVO에 합류하는 것을 허용했다. 얀코 보베트코는 HVO를 재편성했고, HV 장교들이 HVO로 이동했다. 자그레브 정부는 HV와 내무부 특수 부대를 배치했다. HV와 HVO는 동일 제복과 휘장을 사용했다. HV는 VRS에 맞서 최전선에 배치되었다. HVO의 대부분 장교는 HV 장교였다. 1994년 2월 UN 보고서는 HV 군인 3,000~5,000명이 보스니아에 있다고 밝혔다. HVO는 HV에 의존했다. 크로아티아는 HVO 무장을 인정했지만, HV 개입은 부인했다.

크로아티아 권리당의 크로아티아 방위군(HOS)은 류부슈키에 본부를 두었다. HOS는 HVO, ARBiH와 함께 세르비아군에 맞서 싸웠으나, 관계 악화로 사령관이 살해되고 해체되었다. 남은 HOS는 ARBiH에, 중앙 보스니아 HOS는 HVO에 합병되었다.

1992년 후반부터 무슬림 자원병들이 보스니아에 왔다. 무자헤딘 전투 그룹 엘 무자히드가 결성되었다. 이제트베고비치 등은 무자헤딘을 몰랐다고 주장했다. 무자헤딘은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지원을 받았다. 엘 무자히드는 1993년 8월 ARBiH에 편입, 최대 4,000명이었다.

크로아티아를 위한 외국인 전투원에는 영국 자원병 등이 있었다. 알바니아인 등은 제103 (국제) 보병 여단으로 조직되었다. 이탈리아인 부대 가리발디 대대, 프랑스인 자크 도리오 그룹도 있었다. 독일과 오스트리아 자원병은 HOS에 참전했다.

재키 아클로프는 보스니아에서 싸웠고, 스웨덴 귀국 후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 헬리오드롬 등 수용소 범죄를 자백했다.[14]

3. 1. 초기 충돌과 관계 악화

전쟁 초기에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사이에 동맹이 맺어졌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긴장이 높아지고 서로 믿지 못하게 되면서 동맹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1] 양측은 세르비아 측과 따로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고, 곧 서로에 대한 불만이 나타나기 시작했다.[2] 1992년 2월, 오스트리아 그라츠에서 요십 마놀리치와 라도반 카라지치가 만났다. 이 자리에서 크로아티아 측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여러 개의 주권 국가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는데, 이는 세르비아 측의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3]

1992년 4월 중순, 크로아티아 방위위원회(HVO)는 HVO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TO)이 함께 군사 본부를 만들자고 제안했지만,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 대통령은 이를 무시했다.[4] 반면 HVO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에 합쳐지는 것을 거부했다.[5] 5월 6일, 마테 보반과 라도반 카라지치는 그라츠에서 만나 휴전에 합의하고,[6]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사이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토를 나누는 협정을 맺었다.[7][8] 그러나 결국 양측은 합의를 깨고 갈라서게 되었고, 다음 날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과 보스니아계 세르비아군은 모스타르에서 크로아티아군이 점령한 지역을 공격했다.[9][10] 5월 15일, 유엔은 결의안 752를 통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JNA와 크로아티아군(HV) 병력이 주둔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이들의 철수를 요구했다.[11] 6월 중순, ARBiH와 HVO의 연합 군사 작전으로 모스타르 포위를 뚫을 수 있었고,[12] 2개월 동안 보스니아 세르비아 공화국군(VRS)의 통제하에 있던 네레트바 강 동쪽 제방을 점령했다.[13] 크로아티아군이 VRS에 참여한 것은 전쟁 초기에 세르비아가 완전히 승리하는 것을 막는 중요한 장애물 중 하나였다.[14][15]

크로아티아 및 헤르체그-보스니아 지도부는 이제트베고비치에게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연합을 제안했다. 이제트베고비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크로아티아의 영향력 아래 놓이는 것을 막고 싶었거나, 그러한 움직임이 세르비아의 주장을 정당화하고 보스니아인과 세르비아인 간의 화해를 훼손하며 보스니아인 난민이 동부 보스니아로 돌아가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인지 이를 거부했다. 중립을 지키려는 그의 시도는 당시 서로 다른 군사적, 전략적 목표를 가지고 있던 크로아티아에서 좋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6] 이제트베고비치는 보반으로부터 40km 밖에 안 떨어진 요새에서 크로아티아군이 사라예보를 방어하는 것을 돕지 않을 것이라는 최후 통첩을 받았다.[17] 보반은 나중에 유엔의 금수 조치에도 불구하고 비밀리에 구매된 ARBiH에 대한 무기 인도를 차단했다.[18] 크로아티아 정부는 ARBiH 본부를 사라예보 밖으로 크로아티아에 더 가깝게 옮기고 크로아티아의 영향력을 크게 늘리기 위해 재편성을 추진할 것을 권고했다.[19]

1992년 7월 3일,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공동체가 1991년 11월의 원래 결정에 대한 수정안으로 공식적으로 선언되었다.[20][21] 자체 경찰, 군대, 통화 및 교육에 대한 권력을 주장했으며 보스니아인이 다수인 여러 지역을 포함했다. 크로아티아 국기만 사용하도록 허용했고, 허용된 유일한 통화는 크로아티아 디나르였으며, 공식 언어는 크로아티아어였고, 크로아티아 학교 커리큘럼이 제정되었다. 보스니아인이 약간 더 많은 도시인 모스타르가 수도로 정해졌다.[22] 전문에서는 "유럽의 마지막 공산군이 체트니크와 연합하여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는 이 어려운 역사적 시점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크로아티아인은 그들의 미래가 전체 크로아티아인의 미래와 함께 있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23] 7월에 세페르 할릴로비치가 ARBiH 참모총장이 되었다. 할릴로비치가 크로아티아 전쟁 당시 JNA 장교였기 때문에 이 조치는 자그레브와 사라예보 간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24]

6월부터 보스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 간의 군사 협력 및 군대 통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25] 7월 21일, 이제트베고비치와 프라뇨 투지만크로아티아 자그레브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크로아티아 간의 우호 및 협력 협정에 서명했다.[26] 이 협정을 통해 그들은 "[세르비아] 침략에 맞서 협력"하고 군사적 노력을 조정할 수 있었다.[27] 그것은 HVO를 ARBiH의 지휘 하에 두었다.[28] 협력은 조화롭지 못했지만 유엔이 승인한 무기 금수 조치에도 불구하고 크로아티아를 통해 ARBiH로 무기를 수송할 수 있게 했고[29] 보반이 차단한 채널을 다시 열었다.[30] 그것은 서명자 간의 "경제, 금융, 문화, 교육, 과학 및 종교 협력"을 수립했다. 또한 보스니아 크로아티아인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크로아티아 모두에 대한 이중 국적을 보유하도록 규정했다. 이는 "많은 크로아티아인이 거주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에서 더 넓은 정치적 및 영토적 권리를 주장하려는" 크로아티아의 시도로 비판을 받았다. 서명 후 보반은 전쟁이 끝날 때 헤르체그-보스니아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불가분의 일부로 남을 것이라고 이제트베고비치에게 맹세했다.[31] 8월 6일 열린 회의에서 보스니아 대통령은 HVO를 보스니아군 통합의 일부로 받아들였다.[32]

3. 2. 헤르체고비나로의 전쟁 확산

1993년 4월, 전쟁은 헤르체고비나 북부의 코니츠야블라니차로 확산되었다. 1993년 4월 25일,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와 마테 보반은 휴전 성명에 서명했지만, HVO와 HDZ BiH는 이제트베고비치를 비난하는 성명을 채택했다.

3. 2. 1. 모스타르 포위전

모스타르에서 크로아티아 측의 전투로 파괴된 건물들


모스타르의 파괴된 은행 건물


1993년 4월 중순, 모스타르는 HVO(크로아티아 방위 협의회)가 지배하는 서부와 ARBiH(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가 주로 집중된 동부로 분열되었다. ARBiH는 중앙 보스니아에서 HVO보다 수적으로 우세했지만, 헤르체고비나에서는 크로아티아인이 군사적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HVO 본부는 모스타르 서부에 있었다.[11] ARBiH 제4군단은 모스타르 동부에 주둔했으며, 아리프 파살리치가 지휘했다.[12] 1993년 초 약 6,000명의 병력을 보유했던 HVO 동남부 헤르체고비나는 밀렌코 라시치가 지휘했다.[13]

1993년 5월 9일, 모스타르에서 전투가 시작되었으며, 도시의 동부와 서부 모두 포격을 받았다. 전투는 주로 모스타르 서부의 ARBiH 본부가 있던 '브라니차' 건물 주변과 모스타르 동부의 HVO가 점령한 티호미르 미시치 병영(''시에베르니 로고르'') 주변에서 벌어졌다. HVO의 '브라니차' 공격이 성공한 후, 건물에서 생포된 보슈냐크인 포로 10명이 살해되었다.[14] 5월 21일까지 상황은 진정되었고, 양측은 전선에 배치되었다.[15]

HVO는 모스타르 서부에서 보슈냐크인들을 추방했고, 수천 명의 남성들은 드레텔과 헬리오드롬의 임시 포로 수용소로 끌려갔다.[16]

4. 주요 군사 충돌

1993년 초, 보스니아 중부에서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HVO)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주요 군사 충돌이 발생했다. 1월 11일, 고르니바쿠프에서 양측 간 충돌이 발생하여 시내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전선이 구축되었고, HVO 포병은 항복 요구가 거부된 후 ARBiH 병력을 향해 발포했다. 인근 두샤 마을에서도 전투가 벌어져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다. 곧 임시 휴전이 성사되었지만, 1월 24일 부소바차 외곽에서 ARBiH의 매복 공격으로 HVO 병사 2명이 사망하고, 1월 26일에는 제니차 인근 두시나 마을에서 ARBiH에 의해 6명의 크로아티아인과 1명의 세르비아 민간인이 처형되면서 긴장이 더욱 고조되었다. 1월 30일 휴전이 성립될 때까지 부소바차 지역에서 격렬한 전투가 계속되었다.

3월 28일, 프라뇨 투지만 크로아티아 대통령과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은 크로아티아-보스니아 공동 군대 창설에 합의했다. 그러나 다음 달 중앙 보스니아에서는 전쟁이 더욱 격화되었다. 4월 25일, 이제트베고비치와 마테 보반은 ARBiH와 HVO 간의 휴전을 명령하는 공동 성명에 서명했지만, 같은 날 HVO와 HDZ BiH는 이제트베고비치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합법적인 대통령이 아니라는 성명을 채택했다.

1993년 9월, ARBiH는 고르니 바쿠프에서 모스타르 남쪽까지 200km 전선에서 HVO를 상대로 네레트바 작전 '93을 개시했다. 이는 그해 가장 큰 작전 중 하나였다. ARBiH는 라슈바 계곡의 크로아티아인 거주 지역, 특히 비테즈 지역에 대한 합동 공격을 시작했다.[16] 9월 8일/9일 밤, ARBiH는 야블라니차 근처의 그라보비차 마을을 공격하여 크로아티아 민간인이 사망했고, 며칠 후 프로조르 동쪽에서 공세를 펼쳐 우즈돌 학살이 발생했다.

10월에는 바레시에서 이비차 라이치가 주도한 쿠데타 이후, HVO가 스투프니 도 마을을 공격하여 스투프니 도 학살이 발생했다.

HVO와 ARBiH가 세르비아 공화국군(VRS)에 맞서 나란히 계속 싸운 지역도 있었지만, 헤르체고비나와 중앙 보스니아에서의 무력 충돌은 그들 사이의 관계를 악화시켰다. 비하치, 보스니아 포사비나 및 테샤니 지역에서는 크로아티아-보스니아 동맹이 유지되었다. 사라예보에서는 약 1,5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HVO 여단이 ARBiH와 함께 싸웠다. 동맹이 붕괴된 다른 지역에서, VRS는 때때로 HVO와 ARBiH와 협력하여 지역 균형 정책을 추구하고 약한 편과 동맹을 맺었다.

4. 1. 1993년 4월 중앙 보스니아 공세

1993년 4월 15일,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HVO)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에게 무기를 포기하거나 보스니아 다수 지역으로 이동하라는 최후통첩을 발표했고, 이는 얇았던 양측의 동맹 붕괴로 이어졌다. 4월 초 트라브니크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했으며, 4월 13일에는 HVO 소속 군인 4명이 무자헤딘에게 납치되었다. 4월 15일 아침, HVO 사령관 지브코 토티치(Živko Totić)가 제니차에서 납치되고 그의 경호원들이 무자헤딘에 의해 살해되었다. 다음 날 아침 제니차에서 총격전이 벌어졌고, 수적으로 열세였던 HVO는 도시에서 쫓겨났다. 제니차의 크로아티아계 주민 대부분은 추방되어 난민이 되었다.

HVO는 중앙 보스니아를 가로지르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라슈바 계곡에서 공세를 개시했다. HVO 사령관 다리오 코르디치(Dario Kordić)는 라슈바 계곡에서 인종 청소 전략을 실행하여 보스니아계 주민들을 추방하려 했다. 1993년 4월 16일 아흐미치 학살은 이 작전의 절정이었다. 아흐미치 마을은 기습 공격을 받았고, 최소 103명의 보스니아계 민간인이 학살당했다.[16] 이 공격은 "무장하지 않고 경고받지 않은 민간인에 대한 고의적인 학살"이었다.[16] 학살 이후 주요 모스크는 불에 탔고 첨탑은 파괴되었다.

1993년 4월 비테즈 주변에서 살해된 사람들의 시신


4월 18일, 스타리 비테즈의 모스크 근처에서 트럭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최소 6명이 사망하고 50명이 부상했다. 국제유고슬라비아형사재판소(ICTY)는 이를 HVO 내 세력이 저지른 "순수한 테러 행위"로 규정했지만, 공격과 HVO 지도부 간의 연관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HVO는 스타리 비테즈를 포위했지만, ARBiH는 수적으로 우세했고 수백 명의 병력이 비테즈에 남아 있었다. 비테즈의 폭발물 공장은 HVO가 계속 통제했다. 스타리 비테즈 포위는 1993년 4월부터 1994년 2월까지 이어졌다. 4월 24일, 무자헤딘 군대가 밀레티치 마을을 공격하여 체포된 크로아티아계 민간인 4명을 훼손하고 나머지는 폴야니체 수용소로 이송했다.[16]

키셀랴크 지역에서도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HVO는 4월 말까지 인근의 여러 보스니아계 마을을 공격하여 장악했다. 보스니아계 민간인들은 구금되거나 강제 이주당했고, 마을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부소바차에서 ARBiH는 마을에 포격과 박격포 공격을 가했다. 격렬한 전투는 3일 동안 계속되었으며, 보스니아계 주민들은 마을 인근의 여러 마을에서 추방되었다.

4. 2. 트라브니크와 카칸 전투

1993년 6월 4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은 트라브니크와 그 주변의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HVO) 진지를 공격했다. 전선을 지키던 HVO 부대는 후방에서 공격을 받았고, 트라브니크에 있는 사령부는 포위되었다. 며칠간의 시가전 끝에 수적으로 열세였던 HVO군은 패배했다. 수천 명의 민간인과 HVO 병사들은 HVO 점령 지역에서 고립되어 인근 세르비아 점령 지역으로 도망쳤다., 6월 8일, 트라브니크 근처의 말리네 마을이 무자헤딘에게 점령되었다. 200명 이상의 크로아티아 민간인과 병사들이 투옥되었다. 최소 24명의 크로아티아 민간인과 전쟁 포로가 트라브니크 북동쪽 비코시 마을 근처에서 무자헤딘 부대에 의해 살해되었다. 트라브니크와 주변 마을 점령은 이 지역 크로아티아인들의 대규모 탈출을 촉발했다. 체포된 민간인과 전쟁 포로는 트라브니크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 병영 지하실에 ARBiH에 의해 구금되었다.

ARBiH는 도시 동쪽으로 공세를 계속하여 제니차에서 트라브니크까지의 회랑을 확보했다. HVO는 노비 트라브니크와 비테즈로 밀려났다., 6월 10일, ARBiH는 비테즈를 포격했고, 그 과정에서 포탄에 맞아 놀이터에서 8명의 어린이가 사망했다. 보스니아인 군대의 진격으로 인해, 모스타르에 있는 HVO 사령부는 헤르체그보스니아 영토에 대한 완전 동원령을 선포했다.

6월 초, '기쁨의 호송대'로 알려진 구호 물품 수송대가 투즐라로 향하고 있었다. 6월 10일, 약 50명의 여성들이 노비 트라브니크 북쪽 도로를 봉쇄하면서 트라브니크에서 온 크로아티아 난민들에 의해 멈춰졌다. 호송대는 약탈당했고, 8명의 운전사가 살해되었다. 다음 날 아침 호송대는 이동했지만, 사건은 계속 발생했다. 그중 하나에서 UNPROFOR 호송대는 반격을 가해 총격전에서 두 명의 HVO 병사를 살해했다. 이 사건은 서방 언론에 광범위하게 보도되었고, HVO에 엄청난 악영향을 미쳤다.

ARBiH는 도시 남동쪽 마을에 대한 공격으로 카칸으로 이동했다. ARBiH가 도시에 접근하자 수천 명의 크로아티아인들이 도망치기 시작했고, 수적으로 열세였던 HVO는 카칸 동쪽의 바레시로 가는 탈출로를 보호하기 위해 병력을 배치했다. 주요 탈출로에 있는 마을들은 6월 15일에 점령되었고, 다음 날 ARBiH는 카칸에 진입했다. HVO는 키셀랴크 지역에서 공격으로 대응했다. 툴리카 마을을 점령한 후, HVO군은 12명의 보스니아인 민간인과 전쟁 포로를 살해하고 여러 가옥을 불태웠다. 툴리카 북쪽의 한 플로차와 그라호브치 마을에서는 공격 중 또는 구금 중에 64명이 사망했다.

4. 3. 제프체 전투

1993년 6월 24일, 제프체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과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HVO) 사이에 전투가 발발했다. 제프체는 제니차에서 북동쪽으로 45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2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이 마을은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이 균등하게 섞여 살고 있었고, 두 민족 간의 공존이 유지되고 있었다. ARBiH와 HVO는 1km 떨어진 곳에 별도의 본부를 두고 있었다.[17]

이 지역의 HVO 병력은 7,000명이었고, 그 중 2,000명이 제프체 지역에 있었다. ARBiH는 제프체와 자비도비치에 약 5,000~6,000명의 병력을 가진 두 개의 여단을 보유하고 있었다. ARBiH는 또한 제프체 북쪽에 있는 테샤니와 마글라이에 여러 여단을 가지고 있었다. 두 군대는 세르비아 공화국군(VRS)에 맞서 최전선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협력이 중단되면서 양측은 서로에게 갈등 발생의 책임을 돌렸다. ARBiH는 제프체 남쪽에 12,500명을 배치하여 두 개의 열로 진격했다. 이 부대는 제프체의 동쪽, 남쪽, 서쪽 고지를 점령했고, HVO와 현지 보스니아 병력 사이에서 마을에서 격렬한 시가전이 벌어졌다. 양측은 제프체의 절반 정도를 통제했고, 중포로 대규모 폭격을 가했다.[17]

유엔은 VRS 전차가 제프체-자비도비치 지역에서 HVO를 도왔다는 것을 확인하며 노골적인 크로아티아-세르비아 동맹이 존재했다고 밝혔다. 마글라이의 현지 VRS 병력은 HVO를 지원하여 ARBiH의 방어를 약화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제프체 전투는 6월 30일까지 지속되었고, ARBiH 305여단과 319여단이 항복했다. ARBiH 병력은 자비도비치를 확보했지만, 테샤니와 마글라이 주변의 보스니아 점령 지역은 완전히 고립되었다.[17][18]

VRS의 지원으로 HVO는 7월 초에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유엔은 마글라이가 완전히 포위되었음을 확인했다.[17] 약 4,000~5,000명의 보스니아 포로와 민간인이 전투 종료 후 HVO에 의해 구금되어 며칠 동안 창고에 갇혀 있다가 풀려났다. 생포된 ARBiH 병사들은 가혹한 대우를 받았다.[18] 제프체, 마글라이, 테샤니 지역은 삼자 전쟁이 되었다. 제프체-자비도비치 지역에서 VRS는 ARBiH에 대항하여 HVO를 지원했고, 마글라이는 HVO에 의해 세 방향으로, VRS에 의해 한 방향으로 포위되었으며, 테샤니에서는 HVO와 ARBiH가 VRS에 대항하여 협력했다.[17]

4. 4. 부고이노 전투

1993년 7월 18일 이른 아침,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은 부고이노 안팎에 있는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HVO) 병력을 공격했다. 부고이노에는 탄약 공장이 있었다. 이전에는 두 군대의 지휘관이 시내에서 군대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했지만, 이 합의는 그 해 동안 일어난 사건들로 인해 무의미해졌다.[10] ARBiH는 부고이노 전투에서 우위를 점했다. HVO는 시내에 수백 명의 군인을 배치했고, ARBiH는 그보다 3배나 많은 군인을 배치했다. 조직력이 떨어지고 기습을 받은 HVO의 유겐 콰테르니크 여단은 세 곳에서 빠르게 포위되었다. 격렬한 시가전을 벌인 후, ARBiH는 7월 21일 HVO의 병영을 점령했고, 7월 25일까지 시내를 장악하여 약 15,000명의 크로아티아인들이 도망치게 되었다. HVO 군인과 보슈냐크계가 아닌 민간인들은 감옥 수용소로 이송되었는데, 대부분 이스크라 스타디움 수용소에 수용되어 열악한 환경에서 수개월 동안 갇혀 있었다. 전투 과정에서 양측에서 수십 명의 군인이 사망했고, 350명의 HVO 군인이 포로로 잡혔다.[10]

4. 5. 고르니바쿠프 전투

1993년 8월 1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은 고르니바쿠프를 공격하여 다음 날까지 도시 대부분을 점령했다. 크로아티아 방위 협의회(HVO)는 도시 남서부의 크로아티아인 거주 지역을 통제하고 있었으나, 증원군 부족으로 ARBiH는 더 이상 공세를 이어갈 수 없었다. 크로아티아인이 점령한 지역은 역사적으로 도시 전체를 지칭하는 우스코플레(Uskoplje)였다. 8월 5일 HVO는 도시 남서쪽에서 반격을 시도했지만, ARBiH는 이를 격퇴했다. 9월에는 탱크와 중포로 강화된 HVO의 또 다른 공격이 있었으나 이 역시 실패했다.

4. 6. 네레트바 작전

1993년 12월 헤르체고비나 북부와 중부의 전선


1993년 8월의 교착 상태는 9월 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이 고르니 바쿠프에서 모스타르 남쪽까지 200km 전선에서 크로아티아 방위위원회(HVO)를 상대로 네레트바 작전 '93을 개시하면서 종료되었다. 이 작전은 그해 ARBiH의 가장 큰 작전 중 하나였다. ARBiH는 라슈바 계곡의 크로아티아인 거주 지역, 특히 비테즈 지역에 대한 합동 공격을 시작했다.[16] 비테즈 북쪽 자빌제 마을은 라슈바 계곡을 통과하는 주요 도로를 차단하기 위한 첫 번째 목표였다. 북서쪽과 남서쪽에서 반복적인 공격이 이어졌다. 9월 8일 HVO는 비테즈 북서쪽의 ARBiH 진지에 대한 반격을 시작하여 전략적으로 중요한 빌라 언덕의 고지를 점령했지만, 보스니아군은 곧 공세를 재개했다.

9월 8일/9일 밤, ARBiH는 야블라니차 근처의 그라보비차 마을을 공격하여 최소 13명에서 최대 35명의 크로아티아 민간인이 그라보비차 학살에서 사망했다. 희생자들 중에는 노인, 여성, 그리고 4살짜리 아이도 포함되었다. 며칠 후, ARBiH는 프로조르 동쪽에서 공세를 펼쳤다. 이 공세 중에 우즈돌 학살이 우즈돌 마을에서 발생했다. 9월 14일 아침, 70~100명의 ARBiH 병력이 HVO 방어선을 넘어 마을에 진입했다. HVO 지휘소를 점령한 후 군인들은 학살을 시작했고, 3명의 어린이를 포함한 29명의 크로아티아 민간인이 프로조르 독립 대대와 지역 경찰에 의해 사망했다.

9월 18일, 크로아티아인 거주 지역을 두 부분으로 나누기 위해 비테즈 지역에서 또 다른 ARBiH 공격이 시작되었다. 고르니 바쿠프, 트라브니크, 포이니차, 모스타르에서도 전투가 재개되었다. 9월 23일, 전투는 부소바차 지역으로 옮겨졌고, ARBiH는 120mm 박격포탄을 사용하여 마을에 포격을 가했다. 비테즈는 9월 27일에 다시 공격을 받았으며, 병원이 ARBiH 박격포탄에 맞아 2명이 사망했다. 북쪽과 남쪽에서 동시에 공격을 받으면서, ARBiH는 한때 비테즈에서 HVO 방어선을 돌파했지만, 격렬한 전투 끝에 결국 후퇴했다.

헤르체고비나에서 ARBiH 공격의 주요 초점은 모스타르로 가는 북부와 서부 접근로를 통제하는 데 중요한 위치인 브르디 마을의 HVO 요새였다. 첫 번째 공격은 9월 19일 마을에 대한 포격으로 시작되었으며, 서쪽 근처 산을 위한 투쟁을 포함했지만 HVO에 의해 격퇴되었다. 브르디에서 모스타르까지 고정된 전선은 없었고 양측의 군대가 언덕에서 전투를 벌였다. 모스타르에서는 10월 3일 휴전 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도시 교외에서 충돌과 상호 포격이 있었다.

4. 7. 바레시 전투

이비차 라이치는 1993년 10월 20일경, 우호적인 세르비아 영토를 거쳐 바레시에 도착하여 상황을 크게 바꾸었다. 그는 바레시에서 무장 극단주의 단체와 함께 지역 쿠데타를 일으켜 시장과 경찰서장을 투옥하고 교체했다. 이후 이 지역의 많은 보스니아인들이 괴롭힘을 당하고, 약탈당했으며, 조직적으로 집에서 쫓겨났다. 며칠 안에 대다수의 보스니아인들은 남쪽 다브라비나 마을로 이주했다. 라이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이 바레시를 공격할 준비를 하는 동안 강경파 정부를 수립했다. ARBiH는 카칸지와 바레시 사이의 라탄지 마을에서 시작하여 크로아티아인이 주로 거주하는 코프자리 마을로 이동했으며, 이 과정에서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HVO) 군인 3명이 사망하고 마을 주민들은 도망쳐야 했다. 이 공격에 분노한 라이치는 HVO에게 보복으로 보스니아 마을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

1993년 10월 23일 아침, HVO 보병은 박격포와 포병 지원을 받아 39명의 군인이 주둔하고 있던 바레시의 스투프니 도 마을을 공격했다. 이 과정에서 HVO 군인들은 마을을 파괴하고 건물을 다이너마이트로 폭파하고 약탈했으며, 제때 도망치지 못한 모든 주민을 살해했다. 국제유고전범재판소(ICTY)는 HVO가 3명의 어린이를 포함한 36명을 스투프니 도 학살에서 살해했으며, 여성 3명이 강간당했다고 밝혔다. HVO는 학살을 부인하고 지뢰를 설치하고 대전차 무기로 위협하여 UN 평화유지군의 조사를 방해했다. 평화유지군이 10월 26일에 접근했을 때는 HVO가 마을을 청소하여 학살의 증거를 제거하고 파괴한 상태였다.

5. 평화 협상 시도와 실패

1993년 7월 말, 유엔 중재자 토르발드 스톨텐베르그와 데이비드 오웬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세 개의 민족 공화국 연합으로 조직하는 오웬-스톨텐베르그 계획을 제안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세르비아는 영토의 53%, 보스니아인은 30%, 크로아티아인은 17%를 받게 될 것이었다. 크로아티아인은 제안된 국경에 대한 몇 가지 이의가 있었지만 이 제안을 수락했다. 세르비아인도 이 제안을 수락했으나, 보스니아인 측은 세르비아로부터 사바강과 동부 및 서부 보스니아의 영토에 대한 접근과 크로아티아로부터 아드리아해에 대한 접근을 요구하며 계획을 거부했다. 1993년 8월 28일, 오웬-스톨텐베르그 평화 제안에 따라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공화국은 그루데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크로아티아 공화국"으로 선포되었으나, 보스니아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1993년 9월 7일, 크로아티아 의회는 헤르체그보스니아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인들의 주권의 한 형태로 인정했다. 9월 14일, 프라뇨 투지만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과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HVO) 사이의 모든 적대 행위를 중단하기 위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투지만-이제트베고비치 선언 며칠 후, 이제트베고비치와 몸칠로 크라이슈니크스릅스카 공화국군(VRS)과 ARBiH 간의 모든 적대 행위를 중단하고 영토 분쟁에 대해 협상하기로 합의했다. 국경에 합의한 후 각 공화국이 독립에 대한 국민투표를 조직할 수 있다는 조항이 그들의 선언에 포함되었다. 9월 20일, 세 당사자 간의 회담이 Invincible에서 계속되었다. 이제트베고비치는 평화 협정을 선호했지만 군 지도자들은 특히 크로아티아를 상대로 전쟁을 계속하기를 원했다.

1993년 9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측의 화해 시도는 ARBiH 지도자들이 중부 보스니아에서 크로아티아인을 물리칠 수 있다고 생각함에 따라 좌절되었고, 중부 보스니아와 모스타르에서 전투가 계속되었다. 10월 22일, 투지만은 고이코 슈샤크와 얀코 보베트코에게 헤르체그보스니아를 계속 지원하도록 지시했으며, "크로아티아 국가의 미래 국경이 그곳에서 결정되고 있다"고 믿었다. 11월 28일, 투지만은 보반과 슈샤크에게 "노비트라브니크, 부소바차, 비하치의 국경을 확보하고 바라냐를 정리하면, 사바 주변 지역의 대부분을 포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5. 1. 반스-오웬 평화 계획

반스-오웬 평화 계획의 첫 번째 버전. 10개의 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유엔유럽 공동체(EC)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대한 평화 계획을 제시했다.[1] 사이러스 반스와 데이비드 오웬이 제안한 반스-오웬 평화 계획(VOPP)은 보스니아를 10개의 민족 기반 자치주(세르비아인 주 3개, 보스니아인 주 3개, 크로아티아인 주 3개, 사라예보는 별도 주)로 나누는 것을 제안했다.[2][3][4]

1993년 1월 제네바에서 최종 초안이 발표되었지만, 국경이 확정되지 않았다는 인상을 주었다.[5] 보스니아 크로아티아인 대표는 자치권을 부여했기 때문에 이 평화 제안을 지지했다.[6] 1993년 1월 2일, 보스니아 크로아티아 당국은 이 계획에 전적으로 동의했다.[7] 1월 15일, HVO는 보스니아인 당국의 서명 없이도 이 계획을 일방적으로 시행할 것이라고 선언했다.[8]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는 단일 국가를 주장하며 이 계획을 거부했고, "세르비아 민족 청소를 정당화"할 것이라고 말했다.[4]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도 BiH 영토의 20% 이상에서 철수하고 국가를 3개로 분할해야 했기 때문에 이 계획을 거부했다.[4] 라도반 카라지치는 즉시 답변을 거부했다.[9]

이제트베고비치는 여러 수정안을 거쳐 1993년 3월 25일 이 계획을 수락했고,[10] 5월 11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의회는 이 계획을 지지하는 결정을 통과시키고 정부의 시행을 보장했다.[11] 카라지치는 처음에는 이 계획을 거부했지만, 4월 30일에 서명했다. 그러나 5월 6일 스릅스카 공화국 국민 의회에서 거부되었고, 이후 국민 투표에서 거부되었다.[12]

많은 사람들은 이 계획이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 확산에 기여했으며, 민족적으로 혼합된 보스니아 중부 지역에서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세력 간의 영토 쟁탈전을 부추겼다고 생각했다.[5] 1993년 5월, 타데우슈 마조비에츠키 유엔 인권 상황 특별 보고관은 반스-오웬 계획이 민족 청소를 조장하고 있다고 말했다.[13] 오웬은 나중에 그러한 주장에 대해 자신의 계획을 옹호하며,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 간의 민족 청소와 내전을 반스-오웬 평화 계획과 연결하는 것은 잘못되었으며, 그들의 동맹은 1992년 내내 무너지고 있었다고 말했다.[14]

5. 2. 오웬-스톨텐베르그 계획

1993년 7월 말, 유엔 중재자 토르발드 스톨텐베르그와 데이비드 오웬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3개 민족 공화국 연합으로 조직하는 오웬-스톨텐베르그 계획을 제안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세르비아는 영토의 53%, 보스니아인은 30%, 크로아티아인은 17%를 받게 될 것이었다. 크로아티아는 제안된 국경에 대한 몇 가지 이의가 있었지만 이 제안을 수락했다. 세르비아도 이 제안을 수락했으나, 보스니아 측은 세르비아로부터 사바강과 동부 및 서부 보스니아의 영토에 대한 접근과 크로아티아로부터 아드리아해에 대한 접근을 요구하며 계획을 거부했다. 1993년 8월 28일, 오웬-스톨텐베르그 평화 제안에 따라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공화국은 그루데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크로아티아 공화국"으로 선포되었으나, 보스니아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대한 오웬-스톨텐베르그 제안

6. 전쟁의 종식과 워싱턴 협정

1994년 초, 미국은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양측에 압력을 가하여 휴전을 유도했다. 1994년 2월 26일, 보스니아 정부 지도자들과 마테 그라니치 크로아티아 외무부 장관은 워싱턴 D.C.에서 만나 영구적인 휴전과 보스니아-크로아티아 지역 연합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18] 미국의 강력한 압력 하에[19], 1994년 3월 18일 워싱턴 협정이 체결되어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이 종식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이 수립되었다.[20]

프라뇨 투지만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가 서명한 이 협정에 따라, 크로아티아군(HVO)과 보스니아 정부군(ARBiH)이 점령한 영토는 10개의 자치주로 나뉘었다. 투지만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의 지원은 크로아티아의 영토 보전에 대한 미국의 보장, 재건을 위한 국제 대출, NATO의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 프로그램 참여, 유럽 평의회 가입을 조건으로 이루어졌다.[21]

7. 전후 상황과 대한민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은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고, 헤르체그보스니아는 크로아티아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으며 병렬 정부를 유지했다. 대한민국은 보스니아 전쟁 이후 인도적 지원과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여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한국은 보스니아에 의료진과 공병 부대를 파견하여 전후 복구와 재건을 지원했다.

7. 1. 전후 테러

데이턴 협정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특정 인물, 특히 크로아티아인을 대상으로 한 살인과 폭탄 테러가 주로 발생했다.[1] 이 나라에 남은 무자헤딘은 중앙 보스니아에서 크로아티아인 가옥에 대한 정기적인 총격과 폭파, 크로아티아 귀환자들에 대한 빈번한 공격을 감행하며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2][3] 1997년과 1998년 여름에는 현지 경찰의 보호를 받던 무자헤딘 참전 용사들에 의해 두 명의 크로아티아 경찰관이 살해되기도 했다.[4]

1997년 9월 18일, 모스타르에서는 알 카에다와 연계된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일으킨 차량 폭탄 테러로 29명이 부상을 입었다.[5][6]

크로아티아에서도 테러 공격이 있었다. 1995년 10월 20일, 리예카에서는 이슬람 단체 알-가마아 알-이슬라미야의 테러리스트가 폭탄을 실은 차량으로 경찰서 건물을 파괴하려다 29명이 부상을 입고 테러리스트는 사망했다. 이 공격은 HVO가 이슬람 단체의 중요 구성원인 탈라트 푸아드 카심을 체포한 것에 대한 보복이었다.[7] 그 이후로는 이러한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8]

8. 전쟁 범죄 재판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는 크로아티아 방위 협의회(HVO) 및 헤르체그보스니아 관계자 다수에게 전쟁 범죄 유죄 판결을 내렸다.


  • 즈라트코 알렉소브스키는 보스니아계 구금자 학대 혐의로 7년형을 선고받았다.[30]
  • 안토 푸룬지야는 전쟁 법규 및 관습 위반으로 10년형을 선고받았다.[31]
  • 아흐미치 학살과 관련하여 드라고 요시포비치와 블라디미르 산티치는 각각 12년과 18년형을 선고받았다.[32]
  • 티호미르 블라시키치는 보스니아계 구금자 비인간적 대우 혐의로 9년형을 선고받았다.[33]
  • 다리오 코르디치는 보스니아 중부 지역 인종 청소 혐의로 25년형, 마리오 체르케스는 보스니아계 민간인 불법 구금 혐의로 6년형을 선고받았다.[34]
  • 이비차 라이치는 스투프니 도 학살 연루 혐의를 인정하여 12년형을 선고받았다.[35]
  • 미로슬라브 브랄로는 라슈바 계곡에서 저지른 범죄 혐의를 인정하여 20년형을 선고받았다.[36]
  • 믈라덴 나레틸리치 투타는 20년형, 빈코 마르티노비치는 18년형을 선고받았다. 둘 다 모스타르 지역에서 보스니아계 민간인 인종 청소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37]
  • 2017년 11월, 야드란코 프를리치는 25년형, 브루노 스토이치, 슬로보단 프랄략, 밀리보이 페트코비치는 각각 20년형, 발렌틴 초리치는 16년형, 베리슬라브 푸시치는 10년형을 선고받았다.[38] 슬로보단 프랄략은 법정에서 독극물을 마시고 자살했다.[39]


이보 요시포비치와 무스타파 체리치가 아흐미치 학살을 기념하고 있다.


ICTY는 프라뇨 투지만 등 크로아티아 지도자들이 국경 변경 및 크로아티아인 재통합을 위한 공동 범죄 집단(JCE)에 참여했다고 판결했다. JCE의 목적은 무슬림 인구 인종 청소를 통한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공화국 크로아티아인 지배였다.[40]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 측에서는 엔베르 하지하사노비치는 3년 6개월, 아미르 쿠부라는 2년형을 선고받았다.[41] 세페르 할릴로비치는 무죄 판결을 받았다. 메흐메드 알라기치는 기소되었으나 사망했다.[42]

9. 크로아티아의 역할

프라뇨 투지만 대통령은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국경을 기반으로 한 "대크로아티아" 수립을 목표로 했다.[47] 여기에는 헤르체고비나 서부, 포사비나 등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 크로아트인 다수 지역이 포함되었다. 국제 사회의 반대를 인지한 투지만은 보스니아 통합을 공식 지지하면서도, 크로아트계와 세르브계로의 분할을 추진하는 이중 정책을 펼쳤다.[48]

1991년 3월 25일, 투지만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세르비아 대통령과 카라조르제보에서 만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분할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투지만은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가 보스니아를 분할하여 "크로아티아가 헤르체그보스니아 공동체와 크로아티아 포사비나 공동체, 그리고 지정학적 이유를 따져볼 때 비하치에 있는 차진 지역까지 차지해 크로아티아의 국익에 거의 최적의 만족을 가져다 줄 것이다"라고 분할안을 설명했다.[49] 잔존 영토는 사라예보 주변의 작은 보슈냐크인 국가로,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간 완충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49]

1991년 11월 12일, 다리오 코르디치와 마테 보반이 주재한 회의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인 민주연합(HDZ BiH) 지역당 지도자들은 "오래된 꿈인 모두의 크로아트인 국가" 달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같은 날 보스니아 서북부에서 보스니아 포사비나 공동체가, 11월 18일에는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자치공동체(HZ-HB)가 수립되었다.

1991년 12월 27일, 투지만은 HDZ BiH 지도부와의 회의에서 "주권 관점에서 볼 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전망은 없다"고 말하며, "가능한 한 넓은 영토 안에서 크로아트인을 모을 기회를 붙잡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49]

크로아티아는 1992년 4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승인하고, 보스니아군 무장을 지원했다. 그러나 크로아티아 정부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이중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1]

10. 결과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왔으며, 수많은 사상자와 난민을 발생시켰다. 특히 이슬람교와 가톨릭교의 종교적, 문화적 유산이 광범위하게 파괴되었다.[10] 전쟁은 민족 간의 갈등을 심화시켜 전후에도 오랫동안 그 상처가 지속되었다. 대한민국은 전후 복구와 재건을 지원하며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정확한 사상자 수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사라예보 연구 및 문서 센터(RDC)의 2007년 자료에 따르면 1993년 지역별 사상자 수는 다음과 같다.

지역보스니아인크로아티아인세르비아인기타
중앙 보스니아2,893명1,951명289명16명
헤르체고비나1,760명779명205명20명
브르바스 강946명524명431명7명


참조

[1] 웹사이트 ICTY: Hadžihasanović & Kubura Case Information Sheet http://www.icty.org/[...]
[2] 웹사이트 Bosnian War European history [1992–1995] https://www.britanni[...] 2021-11-16
[3]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Office of the Prosecutor in relation to the judgement in the case Prosecutor vs. Jadranko Prlić et al. {{!}}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https://www.icty.org[...] 2021-07-05
[4] 웹사이트 Prlić et al. (IT-04-74) {{!}}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Judgement - Volume 4 of 6. p.2 https://www.icty.org[...] 2021-09-27
[5] 웹사이트 Prlić et al. (IT-04-74) {{!}}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Judgement - Volume 4 of 6, 29 May 2013. p.4-5 https://www.icty.org[...] 2021-09-27
[6] 웹사이트 Jutarnji list - NAJVAŽNIJI TUĐMANOV TRANSKRIPT: SASTANAK S VODSTVOM HRVATA IZ BOSNE I HERCEGOVINE 'Vrijeme je da okupimo hrvatsko nacionalno biće u jednoj državi!' https://www.jutarnji[...] 2017-12-09
[7] 웹사이트 Kordić & Čerkez (IT-95-14/2) {{!}}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Judgment, 2001. p. 14, 38. https://www.icty.org[...] 2021-09-27
[8] 웹사이트 Kordić & Čerkez (IT-95-14/2) {{!}}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Judgement. 26 Feb 2001. p.151 https://www.icty.org[...] 2021-09-28
[9] 서적 Ethnic Cleansing: Migration and Population Transfer and the Jewish Paradigm of Survival Amidst Displacement https://books.google[...] Strategic Book Publishing & Rights Agency 2019-04-04
[10] 웹사이트 Fifth periodic report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territory of the former Yugoslavia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 Commission on Human Rights 1993-11-17
[11] 웹사이트 Kordić & Čerkez (IT-95-14/2) {{!}}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Appeals Chamber Judgement Summary. 17 Dec 2004. p.5. https://www.icty.org[...] 2021-09-28
[12] 웹사이트 Srebrenica – a 'safe' area http://discovery.ucl[...] Netherlands Institute for War Documentation 2002-04-10
[13] 웹사이트 Ex-Yougoslavie: les phalanges https://web.archive.[...] 2007-01-03
[14] 웹사이트 Šveđanin priznao krivnju za ratne zločine u BiH http://arhiva.nacion[...] 2006-11-11
[15] 웹사이트 Kordić & Čerkez (IT-95-14/2) {{!}}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Judgement, 26 Feb 2001. p.207 https://www.icty.org[...] 2021-09-28
[16] 웹사이트 Three Bosniak Soldiers Convicted of Trusina Massacre http://www.justice-r[...] justice-report.com 2016-02-27
[17] 웹사이트 Bosnian Croats Commemorate Anniversary of Unprosecuted Killings https://balkaninsigh[...] 2021-01-08
[18] 웹사이트 JUDGEMENT, Prosecutor vs. Kordic and Cerkez, p. 5, 39 https://www.icty.org[...]
[19] 웹사이트 Kordić & Čerkez (IT-95-14/2) {{!}} Judgement https://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01-02-26
[20] 웹사이트 WITNESS NAME: Paddy Ashdown (extract from transcript, pages 2331 – 2356) https://www.icty.org[...] ICTY 2002-03-14
[21] PDF http://icr.icty.org/[...] 2022-03-01
[22] 웹사이트 Prlić et al. (IT-04-74) {{!}}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Appeals Chamber, Judgement - Volume II. p. 260-282 https://www.icty.org[...] 2021-09-28
[23] 웹사이트 Nastavljeno suđenje Maki Radiću i drugima http://www.bljesak.i[...] bljesak.info 2012-10-01
[24] 웹사이트 Suđenje Marku Radiću i ostalima, u predmetu Liska park http://www.bljesak.i[...] bljesak.info 2012-03-27
[25] 웹사이트 Bosnia Revokes Citizenship Of 100s of Its Jihadists http://www.balkanpea[...] 2015-11-23
[26] 웹사이트 RDC – Research results (2007) – Human Losses in Bosnia and Herzegovina 1991–1995 http://www.idc.org.b[...] 2007-01-01
[27] 서적 Urbicide: The Politics of Urban Destr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8] 문서 Islam and Bosnia: Conflict Resolution and Foreign Policy in Multi-Ethnic States
[29] 서적 Raspeta crkva u Bosni i Hercegovini: uništavanje katoličkih sakralnih objekata u Bosni i Hercegovini (1991.-1996.) https://books.google[...]
[30] 뉴스 Aleksovski case: The Appeals Chamber increases his Sentence to seven years imprisonment http://www.icty.org/[...] 2000-03-24
[31] 뉴스 Appeals Chamber unanimously dismisses Furundzija and affirms Convictions and Sentence http://www.icty.org/[...] 2000-07-21
[32] 뉴스 Appeals Judgement rendered in the ''Kupreskic & others'' case http://www.icty.org/[...] 2001-10-23
[33] 뉴스 Appeals Chamber Judgement in the case the Prosecutor v. Tihomir Blaskic http://www.icty.org/[...] 2004-07-29
[34] 뉴스 Appeals Chamber Judgement in the Case the Prosecutor v. Dario Kordic and Mario Cerkez http://www.icty.org/[...] 2004-12-17
[35] 뉴스 Ivica Rajic Sentenced to 12 Years' Imprisonment http://www.icty.org/[...] 2006-05-08
[36] 뉴스 Appeals Chamber dismisses Miroslav Bralo's appeal affirms sentence of 20 years' imprisonment http://www.icty.org/[...] ICTY 2007-04-02
[37] 뉴스 Appeals Chamber Confirms Sentences Against Mladen Naletilic and Vinko Martinovic http://www.icty.org/[...] ICTY 2006-05-03
[38] 뉴스 The ICTY renders its final judgement in the Prlić et al. appeal case http://www.icty.org/[...] ICTY 2017-11-29
[39] 뉴스 Bosnian Croat war crimes convict dies after taking 'poison' in U.N. court https://uk.reuters.c[...] Reuters 2017-11-29
[40] 웹사이트 SUMMARY OF JUDGEMENT, PRLIC ET AL https://www.icty.org[...]
[41] 뉴스 Hadžihasanović & Kubura Appeals Only Partially Granted http://www.icty.org/[...] ICTY 2008-04-22
[42] 간행물 The Prosecutor of the Tribunal Against Enver Hadžihasanović, Mehmed Alagic, Amir Kubura : Amended Indictment https://www.un.org/i[...] 2002-01-11
[43] 문서 ICTY: Hadžihasanović & Kubura Case Information Sheet http://www.icty.org/[...]
[44] 웹인용 Bosnian War European history [1992–1995] https://www.britanni[...] 2021-11-16
[45] 웹인용 Statement of the Office of the Prosecutor in relation to the judgement in the case Prosecutor vs. Jadranko Prlić et al. {{!}}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https://www.icty.org[...] 2021-07-05
[46] 웹인용 JUDGEMENT, Prosecutor vs. Kordic and Cerkez, p. 5, 39 https://www.icty.org[...]
[47] 웹인용 Prlić et al. (IT-04-74) {{!}}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Judgement - Volume 4 of 6. p.2 https://www.icty.org[...] 2021-09-27
[48] 웹인용 Prlić et al. (IT-04-74) {{!}}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Judgement - Volume 4 of 6, 29 May 2013. p.4-5 https://www.icty.org[...] 2021-09-27
[49] 웹인용 Jutarnji list - NAJVAŽNIJI TUĐMANOV TRANSKRIPT: SASTANAK S VODSTVOM HRVATA IZ BOSNE I HERCEGOVINE 'Vrijeme je da okupimo hrvatsko nacionalno biće u jednoj državi!' https://www.jutarnji[...] 2021-09-27
[50] 웹인용 Kordić & Čerkez (IT-95-14/2) {{!}}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Judgment, 2001. p. 14, 38. https://www.icty.org[...] 2021-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